Economics
-
더 이상의 인상은 없을 것이다 (3월 FOMC Review)Economics 2023. 3. 25. 21:30
Turning to the broader economy and monetary policy, inflation remains too high, and the labor market continues to be very tight. My colleagues and I understand the hardship that high inflation is causing, and we remain strongly committed to bringing inflation back down to our 2 percent goal. 이전 FOMC에서 사용했던 "disinflation"이라는 단어가 빠지고 "inflation remains too high"라는 코멘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즉, 9.1%에서 6.5% 까..
-
파월에게서 리즈 트러스가 보인다Economics 2023. 3. 10. 08:33
. 파월이 한국시간 기준 3월 7일 수요일 새벽 "Semiannual Monetary Policy Report to the Congress"에서 꽤나 의아한 코멘트를 던졌다. 주요 코멘트들은 다음과 같다. . We continue to anticipate that ongoing increases in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will be appropriate in order to attain a stance of monetary policy that is sufficiently restrictiv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As I mentioned, the latest economic data h..
-
장단기 금리차를 바라보는 시각Economics 2023. 3. 5. 21:08
. 23년 2월 28일 기준으로 미국 장단기 금리차는 0.89%의 높은 갭으로 역전되어 있지만, "장단기 금리의 역전"을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해 유명세를 얻었던 캠벨 하비 듀크대 교수가, 최근 채권 시장에서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경기 침체에 대한 "거짓 신호"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왜 장단기 금리의 역전이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되어 왔는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장기 국채의 수익률은 단기 국채의 수익률보다 높은데, 국채라는 것이 본질적으로는 발행 대상(미국 국채의 경우 미국 재무부)이 시장(혹은 중앙은행)에 자금을 빌리는 행위이고, 자금을 빌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상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빌려준 자금에 대한 높은 금리를 요구받게 된다. 하..
-
전쟁을 통해 이득을 보는 자는 누구인가Economics 2023. 2. 11. 18:45
. 당초 3~4일 내로 끝날 것으로 생각했던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생각보다 길어지고 있다. 두 국가의 경제 규모나 군사력 규모로 보았을 때, 러시아가 모든 면에서 우세한 것으로 보였지만 지금의 상황은 결코 러시아에게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지금은 이 상황을 통해 이득을 보는 쪽에서 전쟁을 의도적으로 질질 끌고 있는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물론 이 느낌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지만, 이번 에세이에서 이 느낌에 대한 나름의 근거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실질적으로 여겨지는 이번 전쟁의 원인은 우크라이나의 나토가입이다. 나토라는 조약기구 자체가 서유럽에서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결성된 "군사조직"이며, 결성 이래로 지금까지 나토는 여러 서유럽 / 동유럽 국가들을 모으며 지속적으로 동진해..
-
모든게 괜찮아 보이는데 굳이? (2월 FOMC Review)Economics 2023. 2. 6. 22:19
Today, the FOMC raised our policy interest rate by 25 basis points. We continue to anticipate that ongoing increases will be appropriate in order to attain a stance of monetary policy that is sufficiently restrictiv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 2월 FOMC에서 연준은 0.25% 금리 인상을 발표했고,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disinflation"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사실상 인플레이션이 꺾여 내려오고 있음을 인정했다. 이번 회의 결과에 따라 미국의 기준..
-
일본 중앙은행의 묘수, 공통담보 자금공급 오퍼레이션Economics 2023. 1. 29. 19:29
. 일본이 시장의 예상을 뒤엎고 YCC(Yield Curve Control) 상단을 0.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YCC 상단을 0.5%로 유지하겠다는 이야기는 BOJ(Bank Of Japan)가 계속해서 일본 10년물 국채를 사들여서 국채 금리를 0.5% 선으로 유지하겠다는 이야기인데, 이미 너무 많은 양의 부채를 갖고 있는 중앙은행이기에, 계속해서 0.5%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고, 이에 따라 0.75%나 1.0% 로 올릴 것으로 예상했던 시장에는 이 결정이 다소 의아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 BOJ는 Fed와의 기준금리 차가 5% 가까이 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도 10년물 국채 금리를 0.5%로 유지하기 위해 대량으로 돈을 찍어내서 살포하고 있다. 미국이 쉽사리 피봇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
개발 일지 (1월 회고)Developer History 2023. 1. 29. 10:59
Reading 1월에 30권 정도의 책을 읽었다. 회사가 맞이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지혜를 얻기 위해 비슷한 위기를 겪었고, 이를 잘 헤쳐나간 여러 기업들의 사례를 다룬 책들을 주로 많이 읽었고, 비슷한 맥락에서 난세를 헤쳐나가기 위한 조금 더 추상화된 지혜를 얻기 위해 병법서를 많이 읽었다. 읽고 싶은 책은 많고, 투자할 수 있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든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방식에서 벗어나 나에게 지금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읽는 방법으로 책을 읽었다. 이렇게 책을 읽으면서 독서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기존에 한 400권 정도까지 책을 읽을 때는 단순히 책을 읽고, 밑줄을 긋고, 이런 내용이 있군 하고 책 계정에 올리고 넘어갔다면, 확실히 최근에는 절실해져서 그런지..
-
의외의 강세장과 연착륙의 희망Economics 2023. 1. 24. 17:24
. 많은 전문가들이 2023년을 본격적인 경기 침체의 시작으로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시장은 계속해서 증시를 위로 밀어 올리며 랠리를 보여주고 있다. S&P 500 지수는 어느새 4000선을 회복했고, 나스닥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는 올 한 해 시장과 연준의 피 튀기는 심리전이 지속될 것임을 암시한다고도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5%이익에서 오는 기쁨보다 5% 손실에서 오는 슬픔을 더 크게 느낀다. 이를 손실 혐오(Loss of Aversion) 심리라 한다. 하지만 작년 코로나 이후의 강렬한 상승장의 경험은 손실 혐오를 능가하는 FOMO(Fear Of Missing Out) 심리를 만들었으며, 이 심리가 작년 하반기에 연준이 예상하지 못했던 4번의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음에도 시장을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