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더 이상의 인상은 없을 것이다 (3월 FOMC Review)Economics 2023. 3. 25. 21:30
Turning to the broader economy and monetary policy, inflation remains too high, and the labor market continues to be very tight. My colleagues and I understand the hardship that high inflation is causing, and we remain strongly committed to bringing inflation back down to our 2 percent goal. 이전 FOMC에서 사용했던 "disinflation"이라는 단어가 빠지고 "inflation remains too high"라는 코멘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즉, 9.1%에서 6.5% 까..
-
파월에게서 리즈 트러스가 보인다Economics 2023. 3. 10. 08:33
. 파월이 한국시간 기준 3월 7일 수요일 새벽 "Semiannual Monetary Policy Report to the Congress"에서 꽤나 의아한 코멘트를 던졌다. 주요 코멘트들은 다음과 같다. . We continue to anticipate that ongoing increases in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will be appropriate in order to attain a stance of monetary policy that is sufficiently restrictiv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As I mentioned, the latest economic data h..
-
장단기 금리차를 바라보는 시각Economics 2023. 3. 5. 21:08
. 23년 2월 28일 기준으로 미국 장단기 금리차는 0.89%의 높은 갭으로 역전되어 있지만, "장단기 금리의 역전"을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해 유명세를 얻었던 캠벨 하비 듀크대 교수가, 최근 채권 시장에서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경기 침체에 대한 "거짓 신호"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왜 장단기 금리의 역전이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되어 왔는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장기 국채의 수익률은 단기 국채의 수익률보다 높은데, 국채라는 것이 본질적으로는 발행 대상(미국 국채의 경우 미국 재무부)이 시장(혹은 중앙은행)에 자금을 빌리는 행위이고, 자금을 빌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상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빌려준 자금에 대한 높은 금리를 요구받게 된다. 하..
-
모든게 괜찮아 보이는데 굳이? (2월 FOMC Review)Economics 2023. 2. 6. 22:19
Today, the FOMC raised our policy interest rate by 25 basis points. We continue to anticipate that ongoing increases will be appropriate in order to attain a stance of monetary policy that is sufficiently restrictive to return inflation to 2 percent over time. . 2월 FOMC에서 연준은 0.25% 금리 인상을 발표했고,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disinflation"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사실상 인플레이션이 꺾여 내려오고 있음을 인정했다. 이번 회의 결과에 따라 미국의 기준..
-
일본 중앙은행의 묘수, 공통담보 자금공급 오퍼레이션Economics 2023. 1. 29. 19:29
. 일본이 시장의 예상을 뒤엎고 YCC(Yield Curve Control) 상단을 0.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YCC 상단을 0.5%로 유지하겠다는 이야기는 BOJ(Bank Of Japan)가 계속해서 일본 10년물 국채를 사들여서 국채 금리를 0.5% 선으로 유지하겠다는 이야기인데, 이미 너무 많은 양의 부채를 갖고 있는 중앙은행이기에, 계속해서 0.5%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고, 이에 따라 0.75%나 1.0% 로 올릴 것으로 예상했던 시장에는 이 결정이 다소 의아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 BOJ는 Fed와의 기준금리 차가 5% 가까이 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도 10년물 국채 금리를 0.5%로 유지하기 위해 대량으로 돈을 찍어내서 살포하고 있다. 미국이 쉽사리 피봇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
YCC 상단과 엔 캐리 트레이드 포지션Economics 2023. 1. 24. 16:23
. BOJ(Bank Of Japan)이 지난달 YCC(Yield Curve Control) 상단을 0.25%에서 0.5%로 올린데 이어, 이를 0.75%로 다시 한번 올려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다. 이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하기 위해서는 YCC가 무엇이며,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YCC의 시초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방점을 찍은 2011년 일본의 불경기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제한 양적완화를 들고 등장한 아베노믹스까지 거슬러간다. 아베 정권은 침체기에 접어든 경기를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해 단기 금리를 마이너스로 유지하면서 양적 완화를 통해 연간 80조 엔만큼 장기 국채를 매입했다. 이로 인해 10년 동안 일본의 단기 금리는 마이너스, 장기 금리는 0%대를..
-
속도 조절은 피벗이 아니다Economics 2023. 1. 8. 19:06
Participants reaffirmed their strong commitment to returning inflation to the Committee’s 2 percent objective. A number of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clearly communicate that a slowing in the pace of rate increases was not an indication of any weakening of the Committee’s resolve to achieve its pricestability goal or a judgment that inflation was already on a persisten..
-
non-Euclidean EconomicsEconomics 2023. 1. 2. 21:07
비유클리드 기하학(non-Euclidean geometry)은 직선 밖의 한 점에서 직선에 평행한 직선을 두 개 이상 그을 수 있는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기하학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의 제5공리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면서 그 직선에 평행한 직선은 단 하나 존재한다"가 성립하지 않는 공간을 다루는 기하학으로, 쌍곡기하학, 타원기하학, 택시기하학 등이 있다. .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은 180도이다"라는 명제는 해당 삼각형이 유클리드 기하 공간(Euclidean Geometry Space)에 있을 때 성립한다. 만약 곡면과 같은 비 유클리드 기하 공간(non-Euclidean Geometry Space)에서 생각해본다면 삼각형의 세 내각은 270도가 될 수도 있다. 이는 비 유클리드 기하공간에서는 유클리..